안녕하세요 인포 오션의 인포입니다.
오늘은 연금저축펀드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
세액공제연금
연금 저축이란?
은퇴 후 연금재원으로 활용하며 추가적으로 연간 400만 원 한도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융 상품을 말합니다.
은행, 보험사, 증권사에서 가입이 가능하며 어디에서 가입했느냐에 따라 연금저축은 다른 이름으로 불리게 됩니다.
- 은행에서 가입하게 되면 연금저축신탁
- 보험회사는 연금저축보험
- 증권사는 연금저축펀드로 불리게 됩니다.
연금저축을 가입하게 되면 어느 곳에서 가입했느냐와 관계없이 연말정산 시에 세액공제를 받는 혜택은 동일합니다.
연금저축은 연간 종합소득, 근로 소득에 따라서 2가지로 혜택이 나뉘게 됩니다.
1. 연간 종합소득이 4000만 원 이하 또는 근로 소득이 5500만 원 이하
연금저축계좌에 연간 400만 원을 납입하게 되면 연말정산을 통해서 66만 원(세액공제율 16.5%)의 세액을 돌려받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연간 종합소득, 근로소득이 5500만 원 초과
연금저축계좌에 연간 400만 원을 납입하게 되면 연말정산을 통해서 52만 8000원(세액공제율 13.2%)의 세액을 돌려받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종합 소득 또는 근로소득이 얼마인지에 따라서 혜택이 달라지니 꼭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연금 저축에는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3가지가 있는데 왜 펀드를 선택해야 하는 걸까요?
연금저축펀드는 다른 연금저축에 비해서 어느 정도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BUT!!!!!
위 사진을 보면 펀드가 다른 연금저축에 비해 많이 높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장점에 대해서 몇 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연금저축보험에 비해 수수료가 굉장히 적다.
연금저축보험 가입을 하게 되면 보험사에서 '사업비'라는 명목 아래에 매달 7~10%가량의 납입액을 뗀 후 그 나머지를 적립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10만 원을 냈다고 가정했을 시, 9만 원에서 9만 3천 원가량만 운용되는 셈인 것입니다. 복리로 계산이 되는 연금저축에 경우에 가장 중요한 것이 원금인데 연금저축펀드나 연금저축신탁에 비해 적립되는 금액 자체에서 불리하게 출발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연금저축펀드에 투자할 때도 펀드 투자에 따라 보수,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이것은 연 1~2% 정도로 보험의 사업비에 비해서 현저히 낮습니다. 온라인으로 가입하게 되면 수수료가 더 저렴해집니다.
납입을 유연하게 하고 싶다.
연금저축보험은 납입의 유연성을 고려해봤을 때 납입을 유연하게 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권해드리지 않는 상품입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보험'으로 분류가 되기 때문에 매달 꾸준히 일정 금액을 납입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는 언제 납입하든 상관이 없기 때문에 납입에 유연하기 때문에 점점 힘들어지는 상황 속에서 일정 금액을 매달 내야 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많은 소비자들이 납입이 유연한 연금저축 펀드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여기서! 연금저축신탁은 왜 빼냐고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위에 사진으로 보여드렸다시피 수익률 차이가 3퍼센트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것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신탁으로 하고 수익률을 올리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연금저축펀드로 가입을 하고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 연금저축펀드 장점에 대해서 몇 가지 더 쓰고, 연금저축펀드가 어떤 시스템으로 운용되는지 투자한 우리의 돈들이 어떻게 굴러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https://infoceanworld-0415.tistory.com/7
여러분들과 좋은 정보들 많이 공유하고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궁금하신 부분들과 이런 포스팅 해줬으면 좋겠다 하시는 것들 댓글로 적어주세요!!
'경제Oce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금과 예금의 차이,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0) | 2020.01.22 |
---|---|
연금저축보험의 불편한 진실 (1) | 2020.01.20 |
금리를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0.01.10 |
연금저축펀드를 해야하는 이유 (2) (0) | 2019.12.06 |
생각을 바꿔야 부자가 된다! (0) | 2019.12.04 |